2020. 9. 29. 14:43ㆍ언어학 feat poem
시는 언어와 음악의 혼종이다.
인간은 집단을 영위하면서 시를 만들기 시작했다.
풍요를 위해서
전쟁의 승리를 위하여
영웅의 공로를 기리기 위하여
나를
여기 있게 한
위대한 선조들의 역사를 기억하기 위하여
그 위대함을 영원히 기억하기 위하여
한 사람이 낭송하면
무리가 따라부르는 그런 형태로
시는 시작되었다.
상상해 보라.
한가위 보름달 아래 모여
강강술래를 노래하며
빙글빙글 돌며
춤추는 모습을
우리 조상들이
방금 잡아 온 멧돼지를 구우며
마른 가죽으로 만든 북을 흥겹게 두드리며
지도자의 선창과 함께
모닥불 앞에 모여
빙글빙글 돌며 노래하고 춤추는 모습을.
강강술래와 크게 다르지 않았으리라.
최초의 시는 이와 같이 음악과 함께 시작되었다.
그래서 시에는 항상 음악이 있어야 한다.
시에 음악의 영혼을 불어넣는 방법은
말에 운율을 넣는 것이다.
운율은 운과 율이 합한 말이다.
운은 한 음절에서 첫 소리를 제외한 나머지 소리를 말하는데
흔히 압운이라는 것이다.
압운은 시의 각행이 특별한 음절로 이루어져야 함을 의미한다.
즉 압운을 가지는 시는 각 행이 일정한 음절로 끝나야 한다는 뜻이다.
한시의 전통에서는 특별히 압운을 중요하게 생각한다.
아래 한시를 살펴보자.
岐王宅裏尋常見(기왕택리심상견)
崔九堂前幾度聞(최구당전기도문)
正時江南好風景(정시강남호풍경)
洛花時節又逢君(낙화시절우봉군)
기왕의 집 안에선 늘 보았는데
최구의 집 앞에선 노래도 많이 들었지.
지금 강남의 풍경이 정말 좋으니
꽃 지는 시절에 다시 만나세
<두보의 7언절구 강남봉이구년. 번역: 고창수>
위 시의 각 행 끝은 각각 '견, 문, 경, 군'으로 끝나고 있다.
중국의 옛시이므로 압운은 정확히 지켜지지 않는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1행, 2행, 4행은 ㄴ으로 끝나고 3행만 ㅇ으로 끝난다.
한시의 4행은 모두 이 규칙을 지킨다.
1, 2, 4행의 운은 맞추고 3행에 파격을 주는 것이다.
이렇게 해서 시의 리듬감이 살아나고
절구가 주는 '기승전결'의 패턴에서 '전'에 파격을 줌으로써
독자에게 음악적 전환을 상기시키게 된다.
그런데 운 중에는 두운이나 유운 같이 말 첫 소리 효과에 집중하는 경우도 있다.
두운은 비슷한 첫소리를 연이어 배열하는 방식이며
유운은 ㄹ, ㄴ, ㅇ과 같은 유성자음을 연이어 배열하는 방식을 말한다.
둘 다 시를 읽을 때 경쾌한 기분을 주며 음들이 고르게 되어 낭송하기 좋은 시를 만드는 방법들이다.
1. 두근두근 마음이 떨린다.
2. 영롱한 빛들이 아롱아롱 이슬에 맺힌다.
<두운, 유운의 예시 문장: 고창수>
위의 두 예를 보면 두운과 유운이 시를 유창하게 흐르게 하는 주요한 방법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비해 율은 음보를 기준으로 만들어지는 것으로
한시가 4언, 5언, 7언과 같이 한 행을 이루어야 하는 규칙으로부터 나온다.
이에 대해서는 앞 글 '음보란 무엇인가'에서 자세히 설명해 놓았다.
여기서 언급한 운율들은 아마 수많은 세월을 거치면서
자신의 언어에 맞게 그 체와 용을 모색한 결과이리라.
최초의 인간들은 동물 벽화를 그리듯이
그렇게 시를 노래하며
어둡고 지루한 밤을 견디고
또 그 시간 자체를 즐기고
공동체를 단결하는
충만한 영혼을 누릴 수 있었을 것이다.
가장 오래된 시는
수메르 문명에서 출토된 '길가메시'의 서사시이다.
점토판에 쐐기 문자로 적혀 있으며
영웅서사시의 형태로
길게 이어진 길가메시의 영웅담이다.
보통 영웅서사시는 두 행씩 압운을 맞추게 된다.
길가메시가 영웅서사시의 압운
즉 'heroic couplet'을 이루는지 알려면
수메르어를 해득할 수 있어야 하는데
필자 또한 아직 배움이 부족하여 이 경지까지 이르지 못했다.
그러나 영시에서는 'heoric couplet'이 종종 발견되기 때문에 20세기 작품 일부를 감상해 본다.
* heoric couplet: 영웅서사시들이 두 행을 하나의 압운으로 묶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 대체로 약강 5음보의 시에서 많이 발견되므로 '약강 5음보 대구 압운'이라고 한다.
And then black night. That blackness was sublime.
I felt distributed through space and time:
One foot upon a mountaintop. One hand
Under the pebbles of a panting strand,
그리고 검은 밤이 되었다. 검다는 건 숭고한 것
나는 시간과 공간을 통해 그것에 압도 당한다.
한 발은 산 정상에 있지만. 한 손은
길게 칠해진 자갈 아래 놓여있다.
< Vladimir Nabokov의 소설 Pale Fire 중에서: 번역 고창수>

'언어학 feat poem'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란 무엇인가?- 이야기로서의 시 (0) | 2020.10.17 |
---|---|
시가 문법을 파괴할 때 (0) | 2020.09.17 |
음보(foot, 音步)란 무엇인가? (1) | 2020.08.27 |